C# ETC
-
Azure Devops Repos 추가하고 사용하기C# ETC 2022. 5. 16. 11:25
회사에서 차세대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프로젝트 관리도구(라 하지만 실제로는 svn의 역할만 하게될..) 로 Azure Devops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전 물론 단순 개발자의 관점이기 때문에 누군가가 세팅해놓은 설정을 그대로 가져가 사용만 하면 되는 입장이긴하지만 그러기엔 재미가 없어 직접 Repos를 추가하고 연결까지 해보기로 합니다. 프로젝트는 그냥 만들면 됩니다. 하지만 기본설정으로 다음다음만 누르다보면 아마도 Boards만 추가가 되어있을겁니다. 그땐 왼쪽 메뉴의 Project Settings에 들어가서 활성화를 시켜줘야합니다. 이중에서 Repos가 있어야 형상관리가 가능합니다. :) Azure Devpos는 TFVS와 Git 두가지 버전의 Repository를 제공합니다. 두가지 중 어떤 것을 ..
-
c#으로 바로가기 실행파일 만들기C# ETC 2014. 8. 6. 10:29
이번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 중에사용자들이 PC에 익숙하지 않다는 부분이였습니다.심지어 초기 테스트버젼에서 IE8에 오류가 있어서 테스트 사용자분께 Chrome을 깔아드렸더니 Chrome을 설치만 하고 IE8을 그냥 사용하면서 왜 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하냐고 물얼보시는 분도 있었습니다.여하튼 그런 이유로 서비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바로가기 파일을 생성하기로 했습니다.처음에 시도했던 작업은 lnk파일을 직접 만드는것 이였습니다.이 부분은 검색하면 엄청나게 나옵니다. ㅎㅎ아래와같이 바로가기 파일의 이름과 대상 URL을 받아 바로가기 파일을 만들어주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코드는 간단합니다. 바탕화면의 경로를 가져와서 거기에 직접 StreamWriter를 이용해서 파일을 만들어주는 방식입니다...
-
Visual Studio 2013을 이용한 Windows Service 만들기C# ETC 2014. 7. 3. 10:06
개발자생활(?)을 하다보면 은근히 배치를 만들일도 많고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윈도우즈 서비스를 등록해서 관리하는건 어떤지 하는 압박(?)에 시달리게도 된다.그덕에..이번에 RSS를 가져와서 우리쪽 DB에 넣어주는 작업을 하면서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하는 작업을 해보게 되었다. 역시 까먹기 전에 후딱 정리작업 정의: 한시간마다 한번씩 어딘가에서 제공해주는 RSS를 가져와서 우리쪽 table에 넣어주는 서비스를 등록 (Visual Studio 2013으로 서비스를 만들어주고 Visual Studio 2012의 Visual Studio Tools>VS2012용 개발자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해 installutil명령어로 서비스를 등록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물론 검색해보면 어마무시한 방법들이 나옵니다 >_콘솔..